OTT 서비스란?

 

 

 

OTT 서비스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OTT 서비스는 무엇인지, OTT 서비스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고,

OT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OTT 서비스란?

 

OTT 서비스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요즈음에는 TV 방송보다 OTT 서비스를 통해 각종 영화와 드라마, 예능, 방송 등의 영상물을 보곤 합니다. 

 

OTT 서비스는 'Over the Top'의 줄임말입니다. OTT 서비스란 TV 방송사가 아닌 인터넷을 통해서 방송 및 영화 등의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쉽게 말해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방송망으로 정해진 채널을 통해 TV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기존 방송 서비스와는 별개로,

OTT는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서 서비스에 접속해 원하는 TV 프로그램을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이용 시간도 자유롭고, 스마트폰, 노트북, PC, TV, 태블릿 등 무슨 기기든 상관이 없죠.

 

OTT 서비스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소비자 중심의 (On-Demand) 온디맨드 방식을 가진 서비스라는 것입니다.

 

기존 방송은 일회적이고 단방향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면, 이와 다르게 소비자가 원하는 영화나 TV 프로그램 등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OTT 서비스의 종류

 

이런 OTT 서비스는 전 세계적으로 미국 시장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OTT 서비스의 종류로는 넷플릭스, 유튜브 훌루 등이 있습니다.

 

 

애플이나 아마존 같은 ICT기업들도 OT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죠.

 

물론 우리나라에도 이런 흐름에 맞추어 다양한 OTT 서비스들이 존재합니다.

 

대한민국의 OTT 서비스로는 왓챠, 티빙, 웨이브, 쿠팡 플레이 등이 있습니다.

 

 

또한 많은 OTT 서비스들이 이미 나온 영화나 드라마 같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오리지널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콘텐츠를 유통하는 것에서만 그치지 않고, 직접 프리미엄 동영상 제작업체들과 손을 잡고 실제 콘텐츠 제작에도 참여하고 있는 것입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유튜브 오리지널, 티빙 오리지널 등의 이름으로 해당 플랫폼만의 자체 제작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OTT 서비스의 부흥이 방송사에는 좋지 않게 보인다고 하죠.

 

많은 사람들이 OTT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TV 방송의 입지가 줄어들고 방송을 챙겨보는 시청자 수가 줄어들어

그만큼 시청률도 감소되고 방송 콘텐츠의 관심도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OTT 서비스 사용 방법

 

OTT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선 서비스 구독을 해야합니다. 원하는 OTT서비스 사이트를 선택하고 구독 서비스를 신청하고 결제하면 됩니다. 대부분 정기 구독권으로 한달, 3개월, 6개월, 1년 단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서비스가 결제를 필요로 하지만, 카카오TV 혹은 네이버 TV캐스트에서는 무료로 자체제작 웹드라마 혹은 예능 콘텐츠를 시청하실 수도 있습니다. 

 

 

 

OTT서비스 종류별 링크 첨부▼

 

넷플릭스        https://www.netflix.com/kr/

왓챠              https://watcha.com/

티빙              https://www.tving.com/onboarding

웨이브           https://www.wavve.com/

디즈니 플러스   https://www.disneyplus.com/home

애플티비        https://www.apple.com/kr/apple-tv-plus/

 

 

 

 

OTT 서비스는 대체 무엇인지,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떻게 이용하면 되는지에 대해 소개해드렸습니다.

 

글이 도움되셨다면 공감, 댓글, 구독 부탁드립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